
Kotlin DSL DSL(Domain Specifit Language)은 특정 분야에 특화된 언어를 말합니다. Gradle은 Groovy라는 DSL을 사용하는데 KTS를 통해 Kotlin으로 Gradle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특징 Groovy 언어로 매우 오랜 시간 잘 사용했고, 문제점이 없었기 때문에 굳이 KTS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 싶지만 가장 큰 장점은 Kotlin을 사용하는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언어를 배울 필요없이 친숙하고 쉽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친숙한 구문 컴파일 과정에서 에러 확인 Android Studio 적극 지원 하지만 장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 Clean 작업 후 Build를 거치면 Groovy보다 느리다고 합니다.(링크) 적용 방법 1. buildSr..

도시를 세운다면? 도시가 잘 돌아가는 이유. 수도 관리 팀, 전려 관리 팀, 교통 관리 팀 등 각 분야를 관리하는 팀이 있기 때문이다. 도시가 돌아가는 이유는 적절한 추상화와 모듈화 때문이다. 큰 그림을 이해하지 못할지라도 개인과 개인이 관리하는 구성요소는 효율적으로 돌아간다. 소프트웨어 팀도 도시처럼 구성한다. 깨끗한 코드를 구현하면 낮은 추상화 수준에서 관심사를 분리하기 쉬워진다. 이 장에서는 높은 추상화 수준, 즉 시스템 수준에서도 깨끗함을 유지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시스템 제작과 시스템 사용을 분리하라 우선 제작은 사용과 아주 다르다는 사실을 명심하라.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준비 과정(애플리케이션 객체를 제작하고 의존성을 서로 연결하는) 런타임 로직(준비 과정 이후에 이어지는)을 분리해야 한다. 시..
1997년만 해도 TDD라는 개념을 몰랐다. 대다수가 단위 테스트란 프로그램이 '돌아간다'는 사실만 확인하는 일회성 코드에 불과했다. 직접 수동으로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로고 나서는 테스트 코드를 버렸다. 우리 분야는 지금까지 눈부신 성장을 이뤘지만 앞으로 갈 길은 여전히 멀다. 에자일과 TDD 덕택에 단위 테스트를 자동화하는 프로그래머들이 이미 많아졌으며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하지만 테스트를 추가하려고 급하게 서두르는 와중에 제대로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해야 한다는 사실을 놓쳐버렸다. TDD 법칙 세 가지 실패하는 단위 테스트를 작성할 때까지 실제 코드를 작성하지 않는다. 컴파일은 실패하지 않으면서 실행이 실패하는 정도로만 단위 테스트를 작성한다. 현재 실패하는 테스트를 통과할 정도로만 실제 코드를 ..
- Total
- Today
- Yesterday
- Widget
- DART
- 연산자
- DSL
- observable
- 보이스카우트 규칙
- clean code
- Android
- rxjava
- Flowable
- ConcatAdapter
- CancellationException
- isActive
- TDD
- Exception
- 코루틴
- commit
- 클린코드
- Coroutine
- 클린 코드
- ViewModelProvider
- viewmodel
- git
- ViewModelStoreOwner
- Flutter
- Kotlin
- ConcatAdapter.Config
- null
- 함수
- gradl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